Korea Fantasy
안익태 / 한국환상곡
안익태 安益泰 1905-1962
안익태는 1930년 어느 날, 샌프란시스코의 한인교회에서 스코틀랜드의 민요 ' 올드랭자
인(Auld lang syne)'의 곡조에 맞춰서 애국가를 부르는 것을 처음 들었다. 당시 24세의 안익태는 일본의 구니타치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즉시 미국 유학에 올라 첫 기착지인 샌프란시스코에 체재하고 있을 때였다. 올드랭자인의 선율에 가사를 붙여서 애국가를 부르는 것에 충격을 받고 제데로된 애국가를 만들어야 겠다고 작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1936년 6월, 애국가를 완성하게 되었고 동시에 [한국 환상곡]도 완성 시켰다. 필라델피아의 커티스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리하르트 스트라우스의 지도를 받기 위해서 유럽에 건너갔던 무렵이었다. 때마침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자 몇몇 한인들이 모여서 안익태가 쓴 애국가를 목이 터져라 노래하게 되는데 이것이 최초로 불리어진 애국가였다. 그리고 2년 후인 1938년, 안익태는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아일랜드 국립교향악단을 지휘해서 [한국 환상곡]을 초연했다.
한국 환상곡은 우리 민족의 근대사를 그린 대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형식적으로는 교향시곡의 형태를 취하면서 작품의 표제를 한국의 역사, 그 속에 깃든 한민족의 고난과 영광을 테마로 삼고있는 것이다.
최강주로 연주되는 관현악의 총주(總奏)는 단군 조선의 개국을 알리는 장엄한 서주로 여겨진다. 여기에 이어지는 아름답고 서정적인 가락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한껏 담은 것인데 여기에 보태지는 전통적인 민요 가락과 리듬이 평화롭고 순박한 한민족의 얼을 그린다. 그러나 음악은 일변해서 무겁고 침통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일본의 침략과 애국지사들의 죽음이 그려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의 전통 아악(雅樂)이 등장하여 분위기를 더욱 참담하게 이끈다. 그러나 이러한 비통의 역사를 누르고 애국가가 장엄하게 울려 퍼지는 가운데 해방의 환희와 감격이 표현된다.(안익태는 처음 여기까지로 곡을 완성 시켰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안익태는 민족상잔의 비극을 추가했다. 그리하여 전쟁에 희생된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는 진혼곡을 연주한 뒤 음악은 다시 장엄한 애국가와 만세! 만세!를 피날레로 치달아 가면서 감동적인 클라이맥스를 형성한다. 우리 민족의 수난과 영광을 함께 묘사한 안익태(1905-1965) 선생님의 대서사시 교향곡 "한국 환상곡"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1악장은 개국과 아름다운 강산, 농부들의 평화롭고 소박한 생활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둘을 따로 구분하기보다는 이렇게 묶어 곡의 흐름상 2악장과 구분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첫 시작은 E Flat 장조입니다. 오케스트라의 총 합주로 E flat 장조의 화음이 연주되고 나면 호른이 유려한 음색을 내는데요. 이 부분이 참으로 놀랍습니다. 악보를 보고 분석해보면 이 선율의 방향과 리듬이 대금의 가락과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박자도 불규칙하고, 장식음들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계속 서정적인 선율을 연주하다가 바이올린이 C 장조로 나오는 금관의 멜로디를 반주하는데 이 멜로디가 애국가 선율의 변형입니다. 조용해지면 새소리가 들리고, 얼마 있다가 작은북이 조용히 연타하는 부분은 스님들의 목탁 소리를 연상케 합니다. 경과구를 거쳐 춤을 추기 시작합니다. 이 곳이 평화롭고 소박한 생활 부분의 시작입니다. 여러 민요를 소재로 하여 6/8박자의 춤을 추는데요, 그 선율이 갑자기 끊깁니다. 여기서부터 불길하게 되어 2악장으로 넘어갑니다.
2악장은 민족의 수난기인데요. 조용히 연주되는 침통한 선율로 시작됩니다. 계속하여 침체된 분위기로 흐르다 투쟁적인 a 단조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곳은 3.1 운동을 묘사한 부분입니다. 싱코페이션으로 투쟁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그러다가 애국가 선율이 나오는데요. 진행되는 듯하다가 끊기게 됩니다. 투쟁이 실패로 끝나게 되고요. 체념적인 분위기가 매우 비통함을 느끼게 합니다. 그러나 다시 투쟁은 재개 되고 이번에는 실패가 아니라 승리로 끝나게 됩니다. 결국 독립을 쟁취한 기쁨이 합창에 의해 높이 울려퍼지기 시작합니다.
3악장은 바로 이 합창으로 이루어집니다. 16분 31초에 처음으로 애국가 선율이 나오게 되어 여러 가지로 조를 바꾸어 변형시키게 되는데 혹자는 1절부터 4절까지를 표현하고 있다고 하나 그렇지 않습니다. 1절의 가사만으로 여러 가지 조로 바뀌어 전개되게 되는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흥분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18분 1초부터는 대위법적 부분이 등장합니다. 18분 30초부터는 '화려한 강산 한반도'라는 새로운 A flat 장조의 선율이 등장합니다. 5음음계를 씀으로 인해 애국가보다 더욱 한국적인 분위기를 풍깁니다. 그러나 19분 18초에 다시 노래는 끊기고 또 어두운 분위기로 됩니다.
4악장은 안익태가 6 25전쟁을 겪은 후 말년에 추가한 부분인데요, 원래 3악장까지 있던 것을 안익태가 추가하였습니다. 일제의 마지막 투쟁의 선율이 다시 나옵니다. 그리하여 이 악구는 몇 번 되풀이 한 다음에 20분 1초는 다시 민족의 영광과 승리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여태까지 나왔던 동기들이 여러 차례 등장하고 결국 환희에 찬 기쁨으로 전곡이 끝납니다. 바로 여기가 논란인데요, 6 25전쟁과 이 곡은 무관하지 않습니다. 안익태가 말년에 이 곡에 대한 마지막 개정을 하면서 추가로 써 넣은 부분입니다.
악곡에 대해서...
이 곡의 관현악곡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우선 대 편성의 관현악이 눈에 띄는군요. 안익태는 이 관현악을 단순히 서양음악 식으로 취급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의 혁신적인 면을 보이게됩니다. 아까도 말씀드린 것처럼 호른의 악구가 꼭 대금의 주법과 비슷하게 되어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똑같은 악구를 플룻에 되풀이시키는 부분에서(5분 42초) 정말 절실히 느껴집니다.
이런 식으로 한국의 악기의 주법을 서양의 악기에 사용함으로써 정말 특이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입니다. 이 곡이 대단한 이유를 아실 겁니다. 동양의 악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꼭 동양의 악기가 연주한 것을 듣는 듯한 착각을 주죠. 합창에 대해서도 한 말씀... 굉장히 규모가 큰 합창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안익태는 외국에서 연주할 때도 합창은 항상 우리 말로 부르게 했답니다. 곡의 특징은 아까도 강조했듯이 한국의 악기의 주법을 서양의 악기에 사용함으로써 정말 특이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과 자유로우면서도 긴밀한 형식, 특이한 관현악법과 화성 등이 될 것입니다.
안익태(安益泰) (1905-1962)
안익태는 1905년 12월 5일 평양에서 태어났습니다. 안창호, 안중근 등 애국지사를 배출한 가문으로 그 당시 중류층 가정의 셋째아들이었던 안익태는 형 익심이 선물로 사다준 바이올린을 받으면서 인생의 행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19년 독립 운동에 연루되어 반강제로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뒤 1932년에는 미국으로, 1936년에는 유럽으로 건너가 작곡가 겸 지휘자로서의 길을 걷게 됩니다.
안익태는 1946년 7월 스페인 백작의 딸 로리타 탈라베라와 결혼하였고 그해 마요르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단, 상임 지휘자로 취임했습니다. 그가 오랜 방랑 생활 끝에 고국 땅을 밟은 것은 1955년 이승만 대통령 탄생 80주년 기념 음악제에 초청을 받았을 때였습니다. 그후 고국에서 음악을 계속하려 했던 안익태는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1965년 9월 16일 바르셀로나에서 각기병과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유해는 평소 그의 소망대로 1977년 7월 국립묘지로 옮겨 안장되었습니다 |